서울시가 2025년 하반기부터 신혼부부에게 최대 100만원의 결혼·살림비용을 지원합니다.
7월 이후 혼인신고를 한 부부라면 이번 기회를 꼭 잡아야겠죠.
특히 예산이 조기 소진될 수 있기 때문에, 접수 초반에 빠르게 신청하는 게 핵심이에요.
지금부터 조건, 신청 기간, 그리고 지원금 신청 꿀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1. 지원 대상 — 혼인신고 기준과 소득 요건
서울시 신혼부부 지원금의 핵심 기준은 혼인신고일입니다.
2025년 7월 1일 이후 혼인신고한 신혼부부라면 대상에 포함될 수 있어요.
또한 다음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1️⃣ 부부 중 1명 이상이 서울시 거주자일 것
2️⃣ 가구 중위소득 120% 이하일 것
예를 들어, 2인 가구 기준 월 소득이 약 620만원 이하라면 신청 가능합니다.
소득 산정은 건강보험료 납부 금액으로 확인하며, 맞벌이 부부는 합산 기준이에요.
서울시 측은 “결혼 초기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마련된 제도”라고 설명했어요.
즉, 결혼식·혼수·이사비용 등 실질적 생활비 지원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 2. 신청 기간 및 접수 방법
✅ 신청 기간: 2025년 10월 13일(월) ~ 10월 24일(금)
✅ 접수 방법: 서울시 복지포털 또는 서울시청 공식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단, 이번 지원금은 예산 한정형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조기 마감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혼인관계증명서 (혼인신고일 명시)
- 주민등록등본 (주소 확인용)
- 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및 보험료 납부확인서 (소득 확인용)
모든 서류는 온라인으로 업로드 가능하며,
대리 신청은 불가합니다. 본인이 직접 신청해야 해요.
💰 3. 지원금 금액과 사용 가능 항목
지원금은 최대 100만원 한도 내에서 일시 지급됩니다.
지급 형태는 서울사랑상품권 또는 계좌 입금 방식으로 예정되어 있으며,
결혼 관련 실비(가전, 가구, 신혼집 세팅, 생활비 등)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주거·이사비용처럼 초기 정착비 지출이 많은 신혼부부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예정이에요.
서울시는 이 제도를 통해 결혼 장려 및 저출생 문제 완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결론: 놓치면 아까운 신혼부부 실질 지원금
서울시 신혼부부 100만원 지원금은 단순한 이벤트가 아니라,
결혼과 동시에 새 출발하는 부부에게 꼭 필요한 초기 안정자금이에요.
💡 정리하자면
- 혼인신고일: 2025년 7월 이후
- 신청 기간: 10월 13일~24일
- 신청 대상: 부부 중 1명 이상 서울 거주, 중위소득 120% 이하
- 지원 금액: 최대 100만원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
서울시 복지포털에서 간단히 신청 가능하니,
이번 주 안으로 서류를 미리 준비해두시면 좋습니다.
신혼의 시작, 서울시가 응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