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겨울맞이 전통 김장 체험, 놓치면 내년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광주 빛고을 김장대전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대표 겨울 행사로, 무료 체험부터 김치 가져가기까지 다양한 혜택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지금 바로 신청 방법과 참가 꿀팁을 확인해보세요.





    빛고을 김장대전 신청방법

    광주 빛고을 김장대전은 현장 접수와 온라인 사전 신청 두 가지 방법으로 참가할 수 있습니다. 사전 신청 시 우선 배정되며, 현장 접수는 오전 9시부터 선착순으로 진행됩니다. 온라인 신청은 광주시 공식 홈페이지나 김장대전 전용 사이트에서 가능하며, 가족 단위로 최대 6명까지 신청 가능합니다.

    요약: 온라인 사전 신청 우선, 현장 접수는 오전 9시 선착순

    3시간 완성 체험과정

    1단계: 접수 및 재료 배급 (30분)

    현장 도착 후 접수대에서 참가 확인증을 받고, 앞치마와 장갑 등 필수 용품을 지급받습니다. 이어서 배추, 무, 양념 재료를 가족 인원수에 맞춰 배급받습니다.

    2단계: 김치 담그기 체험 (2시간)

    전문 강사의 지도하에 전통 방식으로 김치를 담급니다. 배추 절이기부터 양념 버무리기까지 전 과정을 직접 체험하며, 중간중간 포토존에서 기념사진 촬영도 가능합니다.

    3단계: 포장 및 시식 (30분)

    완성된 김치를 전용 용기에 포장하여 가져갈 수 있으며, 현장에서 갓 담근 김치를 시식해볼 수 있습니다. 추가로 김치 보관 방법에 대한 안내도 받습니다.

    요약: 접수→체험→포장 총 3시간, 전 과정 무료 참가

    무료 혜택 총정리

    빛고을 김장대전은 참가비 없이 모든 체험이 무료로 제공됩니다. 재료비, 용기비, 체험비 모두 무료이며, 완성된 김치(약 2-3포기 분량)도 무료로 가져갈 수 있습니다. 추가로 전통차 시음, 포토존 이용, 김장 레시피북 제공, 어린이 놀이체험까지 다양한 부대행사도 모두 무료입니다. 주차장도 행사 당일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요약: 참가비부터 김치 가져가기까지 모든 것이 무료

    꼭 챙겨야 할 준비물

    김장대전 참가 시 필수로 챙겨야 할 준비물과 유의사항을 미리 확인하여 원활한 체험을 즐겨보세요. 현장에서 제공하지 않는 개인 준비물들이 있으니 체크리스트를 확인해 주세요.

    • 개인 앞치마 또는 더러워져도 괜찮은 옷 (기본 앞치마 제공하지만 개인 준비 권장)
    • 김치 가져갈 추가 용기 (기본 1개 제공, 더 많이 가져가려면 개인 준비)
    • 물티슈와 개인 손수건 (손 씻을 곳이 제한적일 수 있음)
    • 카메라나 스마트폰 (체험 과정 촬영용, 방수팩 준비 권장)
    • 참가 신청 확인증 또는 신분증 (현장 접수 시 필수)
    요약: 개인 앞치마, 추가 용기, 물티슈, 신분증 필수 준비

    김장대전 일정표 한눈에

    빛고을 김장대전은 보통 11월 말에서 12월 초 주말에 개최되며, 회차별로 참가 인원이 제한되어 있습니다. 아래 표에서 세부 일정과 회차별 정보를 확인하세요.

    시간대 참가인원 특징
    1회차 09:00-12:00 200가족 오전 체험, 한산함
    2회차 13:00-16:00 300가족 오후 체험, 인기시간
    주말 이틀간 총 1,000가족 토일 양일 진행
    체험 시간 3시간 전 과정 포함
    요약: 주말 양일간 총 4회차, 회차당 200-300가족 참가 가능
    반응형